|
동기감응(同氣感應)
지하에 묻혀있는 유체(遺體)는 거기에서 응결한 지기(地氣)를 타서 (승기:
乘機) 유전인자(DNI)가 똑같은 자손에게 동기감응(同氣感應)되어 바로 부
귀빈천의 현응적(玄應的)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4대 이상이 지나면 유전
인자(遺傳因子)의 감응작용(感應作用)이 점점 희박해져 끝내는 소진(消盡)
되어 버린다. 그러하므로 4대에 1대만 묘(墓)를 잘 쓰면 평탄하게 이어지
는 것이다.
여기 동기감응의 고사 하나를 예로 든다.
한(漢)나라 미앙궁(未央宮)에서 어느날 종이 누가 치지도 않았는데 저절
로 울렸다. 황제가 이상하여 동방삭에게 종(鐘)이 울린 이유가 무엇이냐
고 물으니 서쪽에 있는 구리광산이 붕괴되었다는 보고가 들어왔으며 구
리광산이 무너진 때가 미앙궁(未央宮)의 종이 울릴 때와 같았다. 황제가
동박삭(東方朔)에게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는가 물으니 동박삭(東
方朔)이 대답하기를, “ 이 종은 구리로 만든 것이고 구리는 구리 광산에
서 나온 것으로써 그러니 두 기(氣)가 감응하는 것은 마치 사람이 그 부
모로부터 몸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입니다.“라고 답하였다. 황제가
감탄하며, “물체의 감응도 그러하는데 만물의 영장인 사람은 얼마나 많은
감등을 일으키겠느나?“ 하였다.
즉 고사에서 연유된 이야기로서 서쪽에 위치한 광산에서 붕괴되는 시각
에 동쪽에 있는 영종이 울렸다는 것으로 부모의 유해와 같은 기(氣)인 자
손에게(동기감응:同氣感應=같은 유전자) 복을 입힘과 같은 것이니 이는
모두 자연의 이치이다.
사람이 죽음은 호흡이 끊어지고 삶을 영위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육체가
가지고 있던 모든 물질 원소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고 부식되어 소멸되는
과정에서 조상과 후손의 기(氣)가 같은 종류라면 똑같은 기의 파장을 전제
로 하여 상호작용이 일어날 것이라 간주하는 바 이것이 동기감응의 이론적
핵심이다.
현응(玄應)이란 명당을 형성하고 있는 혈토(穴土)에 함축(含蓄)된 지기(地
氣)가 체백(體魄)의 정기(精氣)와 조화롭게 융합(融合)하여,응축(凝縮)된 오
묘한 영기(靈氣)가 그 체백(體魄)과 동질(同質)의 유전인자를 가진 후손들
에게 동기감응(同氣感應)되어 나타나는 여려 가지 현상을 말한다.
입혈(入穴) 당시 혈처(穴處)에 대한 몇가지 주의만 하면 즉 멀리서 보아
넓은 듯하면, 혈처를 정할 때 좁게 하고, 멀리서 보아 높은 듯하면, 혈처
를 정할 때 낮게 하고, 멀리서 보아 기울어진 듯하면, 혈처를 정할 때 바
른 곳에 하고, 멀리서 보아 가파른 듯하면, 혈처를 정할 때 평탄한 곳에
하고, 멀리서 보아 좁은 듯하면, 혈처를 정할 때 넓은 곳에 하라. 이것이
그 대강이다.
청룡이 강하면 청룡을 따르고(청룡 쪽으로 혈을 잡고), 백호가 강하면
백호를 따르되(백호 쪽으로 혈을 잡고), 젖가슴 사이와 같은 곳에서는 유
두(乳頭) 부분에서 혈을 찾으며, 여덟 방향으로 길이 난 곳에서는 솥의
한가운데와 같은 부분에서 혈을 찾고, 넓고 평탄한 지역에서는 냄비와 솥
의 밑바닥과 같은 부분에서 혈을 찾는다.
혹 높은 곳에서는 평평한 곳을 취하고, 혹 낮은 곳에서는 볼록한 곳을
취하고, 혹 완만한 곳에서는 급한 곳을 취하고, 혹 급한 곳에서는 완만한
곳을 취하라. 더러는 주산과 객산을 보고 혈을 취하고 더러는 좌우를 보
고 혈을 정하고, 더러는 돌줄(石脈)을 보고 혈을 정하고, 더러는 물줄(水
脈)을 보고 혈을 정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본래의 자리라고 생각되는 부
분에서 거꾸로 혈을 잡고, 부족한 것을 메워 혈을 잡고, 적절히 더하거나
줄여서 혈을 잡고, 돌려서 쌓고 난 뒤 혈을 잡는등, 그 혈을 정하는 종류
는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 혈법을 잘봐야 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