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감동을 실현하는 기업 - 디앤아이(주)
커뮤니티
처음으로
> 커뮤니티 > 추천도서
:: 글답변 ::
이 름
패스워드
이메일
홈페이지
제 목
내용
> > > 불타는 식욕을 다스리는 5가지 비결 > > > 말도 살찌지만 사람도 살찌는 계절, 가을에는 낙엽만 불타는 것이 아니다. 여름철 집나갔던 입맛이 돌아오면서 식욕도 활활 타오른다. 낮은 기온 때문에 움츠러들기 십상인 가을에 운동까지 소홀하게 되면 허리띠 구멍 한 두개 느는 것쯤이야 예사다. 어떻게 하면 이 멈출 줄 모르는 식욕을 다스릴 수 있을까? > > > 1. 식탁보나 그릇 색깔을 바꿔본다 > > > 식욕을 돋구는 컬러가 있는가 하면 그 반대가 되는 색깔도 있다. 파랑, 보라, 검정, 회색 등이 그러한 색깔들로 쓴 맛, 상한 맛 등을 떠올리게 하고 신선도가 떨어져 보이게 하여 식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빨강, 노랑, 주황 등의 색깔은 식욕을 자극한다. 맥도날드 등 패스트푸드점의 주조색이 레드 계열인 것도 이와 같은 이유다. > > > 2. 싱겁게 먹는다 > > > 젓갈, 장아찌 등 짠 음식은 식욕중추뿐 아니라 미각을 자극해서 ‘밥도둑’ 되기 십상이다. 짜면서 국물이 있는 찌개 같은 음식은 식욕을 더 부채질한다. 찌개에는 뜨거운 물을 한 컵 정도 부어 희석시킨 후 먹는 것이 좋다. > > > 3. 물 먹는 ‘하마’가 된다 > > > 맹물을 하루 6~8컵 정도 마신다. 물은 포만감을 유도하는 팽창 수용체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허기를 달래줘 공복감으로 인한 폭식도 예방한다. 매일 2ℓ 이상의 물을 마시면 1년에 약 5㎏을 뺄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식후에 물 마시면 살찐다’고 해서 일부러 안 마시는 사람도 있지만 근거 없다. 물을 많이 마시기 시작하면 처음에는 위장이 불편한 느낌이 들고, 소변도 자주 보게 되나 적응이 되면서부터 점차 편안해진다. > > > 4. 자주 ‘해바라기’를 한다 > > > 우울증의 정도를 잴 때 체중이 그 척도의 하나가 되는 것처럼 우울증과 식욕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체로 우울증은 식욕 부진을 동반하지만 계절성 우울증이나 일부 우울증은 그 반대로 식욕이 왕성해진다. 우울증세로 인한 식욕 과다는 항우울제를 복용하게 되면 70~80%정도는 좋아진다. 심하지 않은 우울증이라면 규칙적인 생활과 하루 40분 정도의 가벼운 산책 등으로 호르몬 분비를 안정화시켜 주면 우울증 치료는 물론 식욕조절중추도 정상으로 회복된다. > > > 5. 규칙적인 식습관을 들인다 > > > 불규칙한 식사 습관이야말로 식욕에 불을 지피게 하는 지름길. 굶었다, 폭식했다를 반복하면 우리 몸은 언제 닥칠지 모르는 위기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더 자주 배고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식사 시간이 정해져 있는 직장인은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집에서 내킬 때 끼니를 챙겼던 주부들이라면 매일 정해진 시간에 먹는 습관을 들이도록 노력한다. > > > <도움말 : 유태우·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강이헌·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과 교수, 김민경·한국케엠케 색채연구소 소장> >
파일첨부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_